<인공지능 스피커를 이용해 기억훈련을 하는 모습. 사진출처: SK텔레콤>

<사진출처: SK텔레콤>
SK텔레콤 인공지능(AI) 스피커 ‘누구’를 기반으로 한 기억 훈련 프로그램 ‘두뇌 톡톡’이 치매를 예방하는데 효과가 있다는 논문이 국제학술지에 게재됐다.
1일 SK텔레콤에 따르면 이준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연구팀은 2019년 10월∼2020년 2월 60세 이상 노인 80명을 상대로 한 연구에서 이런 결과를 얻어 의료정보학·헬스케어 분야 국제 학술지 ‘JMIR’(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에 최근 발표했다. 두뇌톡톡은 이 교수팀이 개발한 두뇌훈련 프로그램을 SK텔레콤과 함께 AI 스피커에 적용한 것이다. SK텔레콤의 AI 스피커 ‘누구’와 대화하며 퀴즈를 푼 뒤 기억검사를 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 교수팀은 8주 동안 하루 3회 두뇌톡톡을 이용한 집단 40명과 이용하지 않은 집단 40명의 인지 능력을 비교했다. 연구 결과 두뇌톡톡을 이용한 집단의 장기기억력(delayed recall), 언어 유창성(fluency), 작업기억력(digit span backward) 관련 수치가 각각 13%, 11.4%, 15.5% 향상됐다. 언어 유창성은 사고 유연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작업기억력은 학습 기능에 영향을 주는 일종의 단기 기억이다.
이 교수팀은 “두뇌톡톡은 국내외 의료시설에서 치매 예방·관리에 활용하는 대면 ‘메타기억훈련’(MMT)과 유사한 효과가 있다”며 “이는 두뇌톡톡이 오프라인 훈련처럼 치매 발현율을 30% 이상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SK텔레콤은 “이 연구는 AI 스피커 기반 기억훈련 프로그램이 치매 예방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한 것”이라며 “세계적 수준의 학술지에 게재돼 의학적으로 검증받았다는 점이 의미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지방자치단체들과 연계해 취약계층 어르신 약 8000명을 대상으로 서비스하고 있으며, 지난해 8월부터는 자사 인공지능 기반 시니어 특화 서비스 ‘누구 오팔’을 통해 유료 이용을 원하는 고객들에게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SK텔레콤은 이 교수팀이 설립한 디지털치료 스타트업 ’이모코그‘(emocog)와 협업해 두뇌톡톡 고도화 및 대중화에 나설 계획이다.
관련보도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