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캠퍼스타운

서울소재 54개 대학에서 28개 캠퍼스타운, 1963 창업팀이
활동중이며, 2023년내 2200개 창업팀 유치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캠퍼스타운 소개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의 대학 CI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

  • 오시는길 : 강서구 공항대로 484-12 등마루관 1층 유썹센터
    강서구 까치산로 24길 47 강서대 본관
  • 운영담당자 : 김민정
  • Email : kc_campustown@gangseo.ac.kr
  • 연락처 : 02-2648-2295

소개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이란?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은 서울 캠퍼스타운 신규사업(단위형) 선정으로 사업 1 기(2017-2019년), 3기(2020-2022년)에 이어 5기(2023-2025)의 사업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5기는 ‘강서 K-문화골목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으로 창업공간 제공과 더불어, 창업육성, 인재양성. 지역활성화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Vision

  • VISION 청년창업으로 일궈내는 지역공감 골목상권!
  •  
  • 핵심추진가치 CREST
  1.  · Culture 문화: 문화가 있는 골목
  1.  · Reactivation 재활성화: 지역의 매력 증진
  2.  · Entrepreneurship 기업가정신: 청년 창업인재 양성
  1.  · Sustainability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캠퍼스타운
  2.  · Theme 테마: 대학·지역 특성에 맞는 지역 활성화
  •  
  • GOALS
  •  · 창업역량 교육을 통한 창업기업·인재 양성
  •  · 지역사회가 함께 하는 지역 활성화
  •  · 공유 및 특화 통한 지속가능 캠퍼스타운 조성

홍보

영상자막

안녕하세요 현장 리포팅 화제의 현장 리포터 있어 입니다.
저는 강서구에 위치한 케이시 그 학교에 나와 있는데요 좀 별난 카페가 있다는 제보를 도 보았습니다.
보통 대학교 안에 깎게 라고 하려한 보고 먹는게 도색 학생과 더 그렇죠 전격 씬도 가는거고 하구요, 그래도 그 민지 애가 축전 한번 사서 가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등산복 차림이 신데 사회당이 오시나 봐요. 예 보기 위해선 올레길 다녀오는 길이에요. 중 세상이야 요산이 동 재산 이에요, 카페인은 자 주세요 에러 요 안에 올때마다 져 양반들도 다 공개 산 다니는 사람들이에요.
괜찮아 아시나요 으 근처 동네 살아요.
여기는 대학교 카페인데 학생들 만큼이나 어르신들도 많이 있네요.
아까 발 원래 그래요 동네 마을의 가지나 마찬가지인데요 뭐 학교 측에서 좀 불편하지 않을까요.
변하기는 요 동네 사람들 불러다가 기술도 가르쳐주고 동네 청년들 창업하고 또 아주 자 거에요. 예 그 캠퍼스타운 이라고 그 지금 우리 딸도 여기서 사업하는 데 사무실도 공짜랍니다.
사무실 공짜 리야 예 서울시에서 청년창업 이라고 지원해준 데 저 덕에 크게 그 어 이렇게 혹시 란 더 가도 될까요 그렇죠.
가봅시다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사업 세부사업 소개 

 

학교명

강서대학교

자치구

강서구

사업개요

사업명

강서 K-문화골목 캠퍼스타운 조성 사업

사업기간

2024.01 ~ 2024.12

사업대상지역

강서구 전체

사업내용

공통

강서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 운영

창업육성

GSU 입주경진대회 운영

창업지원 프로그램 : 발굴 → 육성 → 도약/자립의 단계적 체계 하에 분야별, 단계별 지원프로그램을 유연하게 제공
- 창업역량 강화 전문교육, 창업기업 멘토링, 창업기업 고도화, 대학 특화 창업 지원 프로그램
창업역량 강화 전문교육
창업기업 멘토링
창업기업 고도화 (네트워킹 데이, 창업지원금 지원, 사업성과 확산 및 공유회 운영)
대학 특화 창업 지원 프로그램 (초기-성장-도약)

서남권 창업밸리 (강서대학교가 속한 서남권 캠퍼스타운 밸리 내 4개 대학이 업무협약 하에 대학간 공동 프로그램 운영 및 자원 공유 통한 서남권 밸리 활성화)

지역 활성화

지역공감 - GREAT

창의교육-G :  Talk+Talk Community, Debate Championship 등
창의교육-R : 로봇코딩 자율주행
진로직업 체험 -E
대학생 모의창업 체험-A
자치구 재정사업 연계-T